Logos Bible Software
Sign In
Want to get 5% back on your purchase and 5% off all future orders?*
Subscribe to Logos Pro for exclusive perks including 5% back on your first purchase, 5% off all future orders, and our newest Bible study tools. Your first 30 days are free, then just $14.99/month. Learn more
*Exclusions apply.
Products>기독론

기독론

Publisher:
ISBN: 9788904031566

Digital Logos Edition

Logos Editions are fully connected to your library and Bible study tools.

$48.49

『기독론』은 기독교신학의 핵심이 되는 중보자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관한 교리 전반을 성경의 가르침에 충실하게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는 책이다. 따라서 그리스도를 깊이 알고자 하는 분들과 신학생들, 기독론의 지평을 확장하여 그 교회론적, 종말론적인 의의와 가치를 추구하고 그것을 성도의 삶에까지 적용하고자 하는 목회자들, 교리를 깊이 탐구하고 변증하고자 하는 신학자들에게 좋은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 약어
  • 저자의 말

  • 제1부 기독론, 올바른 방법과 신학적 논거 : 성경과 신경과 교리

  • 제1장 기독론의 대상과 주제 그리고 방법론
  • 1. 서론적 단상 : 과제, 자리, 구속사적-구원론적 관점
  • 2. 기독론의 동향
  • 3. 상승기독론 비판
  • 4. 신학적 전제 : 하강기독론과 상승기독론의 경계

  • 제2장 성경과 기독론
  • 1. 성경의 기독론
  • 2. 성경적 기독론
  • 2. 1. 기독론과 신학의 원리
  • 2. 2. 역사적 예수 연구의 허상
  • 2. 3. 성경의 예수와 성경적 예수
  • 2. 4. 교리적 전제에 서는 성경신학
  • 2. 5. 철학은 신학의 전제나 원리가 될 수 없다
  • 3. 성경과 신학 : 신학의 원리와 삼위일체론적-기독론적 관점

  • 제3장 신경적 기독론
  • 1. 성경의 신앙고백
  • 2. 신앙의 규범(regula fidei)
  • 3. 사도신경과 니케아 신경
  • 4. 에베소 공의회 : 칼케돈에 이르는 길
  • 5. 칼케돈 공의회
  • 6. 제2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 7. 제3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 8. 아타나시우스 신경
  • 9. 루터파 신경들 : 루터파 속성교통론에 주목하여
  • 10. 개혁파 신경들 : 기독론 중심성

  • 제2부 언약 : 영원한 구원협약의 역사적 성취 경륜

  • 제4장 언약과 그리스도
  • 1. '구원협약'(consilium salutis)으로서 구속언약(pactum salutis)
  • 1. 1. 창세 전의 삼위 하나님의 구원작정
  • 1. 2. 타락전예정설(Supralapsarianism)과 타락후예정설(Infralapsarianism)
  • 2. 언약 : 영원한 구원협약의 역사적 성취 경륜
  • 2. 1. 행위언약(foedus operum) : 첫 언약(primum foedus)
  • 2. 2. 칼빈의 언약관
  • 2. 3. 은혜언약(foedus gratiae) : 실제적 그러나 실체를 바라보는 예표적 언약
  • 2. 4. 새언약(foedus novum) : 언약의 통일성
  • 2. 5. 결론적 고찰 : 창세 전 구원협약과 역사적 언약의 역사상 성취와 적용

  • 제3부 중보자 그리스도의 인격 : 성육신과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

  • 제5장 위격적 연합
  • 1. 위격적 연합 교리의 형성
  • 1. 1. 아폴리나리우스 이단
  • 1. 2. 갑바도기아 교부들
  • 1. 3. 알렉산드리아의 키릴
  • 1. 4. 어거스틴
  • 1. 4. 1. 삼위일체론적 지평 : '종속' 그러나 '종속설'이 아닌
  • 1. 4. 2. 위격적 연합으로서 성육신 : 신인양성의 속성교통
  • 1. 4. 3. 위격적 연합 가운데서의 비하와 승귀의 상태와 사역
  • 2. 위격적 연합의 의미와 존재적, 인식적 의의 : 삼위일체론적-기독론적 관점
  • 3. 연합 가운데 한 분이심(unitas in unione)
  • 4. 취하심(assumptio)
  • 5. 비(非)위격(anhypostasis)과 내(內)위격(enhypostasis)
  • 5. 1. 신경적 정의
  • 5. 2. 비잔티움의 레온티우스의 입장
  • 5. 3. 소위 초(超)칼빈주의(the so-called extra Calvinisticum) : 서술과 현존과 임재
  • 5. 4. 구체(concretum)와 추상(abstractum)의 이분법을 넘어서 : 제3의 길의 위험성
  • 5. 5. 비(非)위격적이지 않고 내(內)위격적인 연합의 비밀(mysterium)
  • 6. 본성에 따른 속성들의 배분(distributio) : 신성에 따라서, 인성에 따라서
  • 7. 신화(神化, deificatio) : 교부들의 유비적 혹은 윤리적 개진
  • 7. 1. 아타나시우스
  • 7. 2.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
  • 7. 3. 닛사의 그레고리
  • 7. 4. 알렉산드리아의 키릴
  • 7. 5. 고백자 막시무스
  • 7. 6. 결론 : 성육신의 구원론적 의미를 추구
  • 8. 바르트의 오류 : 위격적 연합을 변증법적 인식 과정의 산물로 여김

  • 제6장 성육신론
  • 1. 성육신론의 형성 : 교부들의 성육신론
  • 1. 1. 터툴리안 : 성육신의 초기적 신학화
  • 1. 2. 아타나시우스 : 성육신을 구원론적 관점에서 신학화
  • 1. 3. 어거스틴 : 영원히 나신 성자가 역사상 사람으로 나심
  • 1. 3. 1. 영원한 나심과 성육신
  • 1. 3. 2. 성육신의 의의와 가치
  • 1. 3. 3. 동정녀잉태
  • 1. 3. 4. 성육신의 목적
  • 2. 말씀이 육신이 되심
  • 2. 1. 하나님의 아들이 사람의 아들이 되심
  • 2. 2. 세 가지 관점 : 삼위일체적, 창조적, 계시적
  • 3. 성육신의 주체 : 제2위 성자 하나님
  • 4. 성육신의 방식 : 성령잉태
  • 5. 성육신의 필연성 : 신인양성의 중보를 통한 유일한 대속의 길
  • 6. 성육신의 비하성(卑下性)
  • 7. 성육신에 관한 성경의 증언
  • 8. 성육신의 의의와 가치
  • 9. 성령잉태를 부정함으로 성육신을 부인하는 견해들

  • 제7장 그리스도의 신성
  • 1. 그리스도의 신격(deitas)과 선재(praeexsistentia)
  • 2. 그리스도의 신성(divinitas) : 영원하신 성자 하나님이 사람의 아들이 되심
  • 3. 주님의 신성(divinitas)을 통한 신격(deitas) 변증
  • 3. 1. 그리스도의 신격의 중심성
  • 3. 2. 하나님의 영원하신 아들이심
  • 3. 3. 참 하나님이시자 참 사람이신 분의 신성
  • 3. 4. 그리스도의 중보로 계시된 그리스도의
  • 3. 5. 결론적 고찰 : 신격, 신인양성의 위격, 신성, 신인양성의 교통의 상관성
  • 4.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는 견해들

  • 제8장 그리스도의 인성
  • 1. 인성에 따라서 우리와 동일본질이심
  • 2. 우리와 동일한 인성의 속성들을 지니심
  • 3. 그리스도의 인성의 무죄성
  • 4. 그리스도의 참 인성을 부인하는 견해들

  • 제9장 위격적 연합에 따른 신인양성의 속성교통
  • 1. 교리사적 배경
  • 2. 속성교통의 종류와 원리 : 루터파 속성교통론과 개혁파 속성교통론
  • 2. 1. 세 가지 종류의 교통 : 개혁파
  • 2. 2. 세 가지 종류의 교통 : 루터파
  • 2. 3. 개혁파 속성교통론
  • 2. 4. 루터파 속성교통론 비판
  • 2. 5. 그릇된 대안
  • 3. 속성의 교통(Communicatio Idiomatum)
  • 3. 1. 축자적 그러나 실제적 교통
  • 3. 2. 초대교회 교부들의 전개
  • 3. 3. 속성교통의 여러 양상들
  • 4. 사역의 교통(Communicatio Apotelesmatum)
  • 5. 은사의 교통(Communicatio Gratiarum)
  • 6. 결론적 고찰 : 성경적, 축자적-실제적 교통

  • 제4부 중보자 그리스도의 사역 : 구속주의 직분과 비하와 승귀의 상태

  • 제10장 신인양성의 중보자와 삼중적 직분
  • 1. 그리스도의 영원한 중보 : 천사들과 교회의 머리가 되시는 율법의 중보자
  • 2. 신인양성적 중보의 필연성
  • 3. 그리스도의 삼중적 중보(mediatio triplex)
  • 4. 그리스도의 삼중직(munus triplex)
  • 4. 1. 선지자직(propheticum munus)
  • 4. 2. 제사장직(sacerdotale munus)
  • 4. 3. 왕직(regium munus)

  • 제11장 그리스도의 비하와 승귀
  • 1. 이중적 상태(status duplex)
  • 2. 구주의 칭호
  • 3. 비하의 양상
  • 3. 1. 비하의 신분
  • 3. 2. 행하신 순종(수법, 守法)과 당하신 순종(수난, 受難)
  • 3. 2. 1. 모든 율법을 행하신 순종(obedientia activa)
  • 3. 2. 2. 죽기까지 당하신 순종(obedientia passiva) : 지옥강하와 더불어
  • 4. 승귀의 양상
  • 4. 1. 부활(resurrectio)
  • 4. 2. 승천(ascensio)
  • 4. 3. 재위(sessio)
  • 4. 4. 재림(parousia)

  • 제5부 대리적 무름의 값 :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가치

  • 제12장 속죄론 : 대리적 무름
  • 1. 속죄론의 의의와 자리와 역사 : 개혁신학의 입장에서
  • 2. 어거스틴의 대리적 속죄론
  • 3. 칼빈의 언약적 이해 : 아버지의 사랑과 아들의 공로의 두 축
  • 4. 칼빈신학의 계승과 심화 : 개혁신학자들의 이해
  • 4. 1. 형벌적 무름(satisfactio poenalis)
  • 4. 2. 신인양성의 중보 가운데 다 이루신 의 : 당하신 순종(obedienia passiva)과 행하신 순종(obedientia activa)
  • 4. 3. 제사장(sacerdos)이시자 제물(sacrificium)이신 구속주(redemptor)
  • 4. 3. 1. 큰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
  • 4. 3. 2. 거룩하고 온전한 제물이신 그리스도
  • 4. 3. 3. 우리를 위한 구속주이신 그리스도
  • 4. 3. 4. 속죄(expiatio), 용서(propitiatio), 화목(reconciliatio)
  • 5. 안셈의 배상(satisfactio) 이론 : 전개와 한계
  • 5. 1. 취하심(assumptio) :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
  • 5. 2. 배상(satisfactio)
  • 6. 대리적 무름을 부인하거나 사실상 부인하는 견해들
  • 6. 1. 사탄배상설과 총괄갱신설
  • 6. 2. 주관설
  • 6. 3. 하나님의 뜻에 대한 자의적 해석 : 주의주의와 통치설
  • 6. 4. 결론적 고찰

  • 제6부 정통적 교리의 수호 : 두 신학자의 오류를 반박

  • 제13장 슐라이어마허의 기독론 비판
  • 1. 서론 : 슐라이어마허 신학의 기독론적 동기
  • 2. 구속 : 절대의존감정의 공유
  • 3. 모든 사람의 모든 사람을 위한 중보
  • 4. 중보자 그리스도 : 단지 모범으로서 이상적인 중보자가 되심
  • 5. 중보자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 6. 결론 : 객관적 의의 전가를 부인하는 신비주의적-범신론적 견해

  • 제14장 칼 바르트의 기독론 비판
  • 1. 서론 :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역사와 계시의 문제
  • 2. 그리스도와 계시 : 인식론적 오류
  • 2. 1. 계시와 실제
  • 2. 2. 계시와 인격
  • 3. 성육신과 삼위일체
  • 3. 1. 계시로서의 성육신
  • 3. 2. 성육신 가운데 계시된 세 존재방식으로서의 삼위일체
  • 4. 그리스도의 사역과 두 상태
  • 4. 1. 계시적 참여
  • 4. 2. 계시적 분여와 두 상태
  • 5. 결론 : 변증법적 병행으로 정통적인 기독론과 삼위일체론을 대체

  • 부록1 참고 문헌
  • 부록2 주제별 색인
  • 부록3 성구 색인
  • 부록4 인명 색인
  • 책 속으로
『기독론』은 원전을 중심으로 초대교회로부터 오늘날까지 기독론과 관련된 내용을 파악하여 여러 학설들을 비평적으로 소개한 탁월한 책이다.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을 세우는데 가장 기여하는 책이라고 평가하고 싶다. 고금의 원전에 근거하여 개혁주의 관점에서 기독론과 관련된 주제를 논의한 것으로 1200여 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은 저자의 지적탐구 노력을 증거하고 있다.
  • 제목: 기독론
  • 저자: 문병호
  • 출판사: 생명의말씀사
  • 출간일: 2016년 1월 27일
  • 쪽수: 1232쪽

This title is included in the following collections

You can save when you purchase this product as part of a collection.

Logos 사용자는 Logos의 도서들을 통해 기존 eBook에서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기능을 만날 수 있다. 주요 용어들은 Logos의 사전, 백과사전, 그리고 사용자의 디지털 서재에 포함된 모든 자료들과 서로 연결되어 있어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큰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빠른 시간 내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Logos의 강력한 검색 기능, 모바일 기기와 연동되는 독서 계획표는 Logos만이 가진 특별한 매력이다.

종합적인 연구 도구를 한 번에 제공하는 Logos 성경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게 보다 더 깊이 있고 입체적인 성경 연구의 기회를 제공한다.

고려대학교 법대 법학과(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을 졸업했고, 미국 홀랜드의 웨스턴신학교에서 신학석사 학위(Th. M.)를 수여받았고,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학교에서 ‘칼빈의 기독론적 율법 이해’에 관한 논문을 작성하여 박사학위(Ph. D.)를 취득하였다. 유학 중에 미국 칼빈신학교와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종교개혁센터에서 공부하고 연구하였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로서 기독론, 신학서론, 칼빈신학, 라틴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십자가지기교회에서 섬기고 있다.

주된 학자적 관심은 터툴리안, 아타나시우스, 어거스틴, 알렉산드리아의 키릴을 비롯한 초대교부들로부터 칼빈을 거쳐 뚤레틴과 오웬 등으로 대변되는 정통 개혁신학자들과 청교도 신학자들 그리고 바빙크와 핫지와 워필드를 위시한 근현대의 개혁신학자들에 이르는 정통적 입장을 계승하고 심화시킴으로써 참 신학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립하는데 있다. 이와 더불어 슐라이어마허, 바르트, 라너를 필두로 하는 자유주의, 신정통주의, 로마 가톨릭 신학의 오류를 지적함으로 정통신학을 변증하는 일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영국에서 출판된 Christ the Mediator of the Law: Calvin’s Chris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Law as the Rule of Living and Life-Giving (Milton Keynes, UK: Paternoster, 2006), 『기독론』 (서울: 생명의말씀사, 2016), 『30주제로 풀어 쓴 기독교 강요: 성경교리정해』 (서울: 생명의말씀사, 2011, 수정증보판, 2013), 『교회의 ‘하나 됨’과 교리의 ‘하나임’: WCC의 ‘비(非)성경적,’ ‘반(反)교리적’ 에큐메니즘 비판, 정통 개혁주의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서울: 지평서원, 2012), 『칼빈신학: 근본 성경교리 해석』 (서울: 지평서원, 2015), 『개혁신학과 한국 장로교 보수신학』 (서울: CLC, 2019), 『기독교의 진리』 (서울: 생명의말씀사, 201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존 칼빈, 『라틴어직역 기독교강요: 경건에 대한 순수한 가르침』 (서울: 생명의말씀사, 2009)이 있다.

Reviews

1 rating

Sign in with your Logos account

  1. 김동완

    김동완

    4/11/2023

$48.49